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4장 혼란의 세상, 영웅이 온다 (고구려 下편)

by Kaiser0619 2023. 3. 25.
반응형

- 궁예는 폭군이 아니다. 

 우리가 기억하는 궁예(弓裔, 후고구려의 국왕) 옛날 21세기 KBS에서 방영이 되던 태조왕건(太祖王建)이다. 당시 태조왕건에서 궁예의 대표 어록은누구인가? 지금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어?’ 이거와마구니가끼었구나’라는것이다. 이런 어록들은 궁예를 대중화하는데 결정적인 덕을 보았다.

 그리고 우리는 학교에서 역사공부를 할때 궁예를 고려(高麗) 건국한 태조(太祖) 왕건에게 정통성을 부여하기 위해 궁예를 폭군으로 깎아 내린다. 이번에는 궁예의 반전매력을 한번 보러 가보자 

 

- 강한 국가를 위해...

 이때 당시의 신라(新羅) 거듭되는 진골귀족(眞骨貴族)들의 왕위계승전에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웠다. 그리고 진성여왕(眞聖女王, 신라의 51 국왕) 즉위한 , 여왕과 진골의 사치와 부패로 인해 백성들이 더더욱 죽어나가고 있었다. 모습을 가까이에서 궁예는 그때부터 기득권에 대해 학을 정도로 싫어한다.

 궁예는후고구려(後高句麗)’ 건국한지 3년이 지나고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바꾼다. 마진이라는 국호는 마하진단(摩訶震旦) 약자로 마하는 인도의 산스크리트어로크다라는 뜻이고 진단은 중국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후에동방의 제국 뜻하는 말이다.  그리고 911 궁예는 태봉(泰封)이라는 국호로 바꾸었는데 태봉이라는 국호는 주역(周易) 태괘(泰卦)에서 천하 만물이 조화를 이룬다는 뜻의 () 봉토(封土) 뜻하는 () 합성어로 백성들을 위해 조화롭고 이상적인 낙원을 건설하겠다는 뜻과 태산에 가서 천지(天地) 자신의 공훈을 고하였던 태산봉선(泰山封禪) 줄임말도 있다. 

 궁예는 태봉의 중앙관제도 당시 세계 최강의 제국이던 당(唐)나라의 관제를 참고하지 않은채 자주적으로 열아홉개의 관부를 설치한다. 솔직하게 모두 설명을 하고 싶지만 이해하기 쉽게 당나라의 3 육부를 기반으로 설명을 해주겠다. 

 

광평성(廣平省) : 내정을 통괄하는 기관 (당나라의 중서성(中書省), 문하성((門下省), 상서성(尙書省) 합쳐놓았다.)

 

내봉성(內奉省)관료의 인사 담당 (당나라의 이부(吏部))

 

대룡부(大龍部) : 국가재정을 담당하는 기관 (당나라의 호부(戶部))

조위부(調位部) : 전국의 전곡(錢穀)의 훌납회계를 관장한다. (당나라의 호부(戶部))

 

수춘부(壽春部) : 예의(禮儀제향(祭享조회(朝會교빙(交聘) (당나라의 예부(禮部))

봉빈부(賓部) : 외교사절을 접대하는 기관 (당나라의 예부(禮部))

 

의형대(義刑臺) : 법률·사송(詞訟상언(노비를 관장하는 기관 (당나라의 형부(刑部))

 

병부(兵部) : 군무를 담당하는 기관 (당나라의 병부(兵部))

 

수단(水壇) : 천택(川澤), 치산치수를 관장하였다. (당나라의 공부(工部))

 

- 철원성 ; 백성과 연결고리

 904년 궁예는 후고구려의 수도인 송악성(松嶽城)에서 철원성(鐵原城, 현재 강원도 철원)으로 국도(國都)를 옮긴다. 본래 우리나라는 석성(石城)이나 아니면 목성(木城)을 기반으로 지어지는데 이 철원성은 토성(土城)으로 지어진 수도이다. 물론 그 이전에 백제의 하남위례성(慰禮城, 지금의 풍납토성(風納土城) 아니면 몽촌토성(夢村土城))에도 토성을 건설했으나 철원성은 좀 다르다. 

 이 철원성은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조선초기에 편찬된 고려사(高麗史)에서는 당시 이 수도를 무지하게 크고 사치스러웠다고 한다. 물론 당시 이 철원성의 크기가 컸던 것은 사실이었으나 사치스러웠다고 말하기에는 모순점이 너무 많다. 고대부터 근대까지 국가의 수도는 항상 화려했다. 특히나 태봉이 멸망하고 고려가 들어선 후, 본경(本京)과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 그리고 벽란도(碧瀾渡, 예성강 하구) 얼마나 화려하였는가... 

 그리고 당시 철원성은 궁예가 백성들의 애민정신(愛民挺身)을 보여주는 수도라는 것이다. 아까 전에 말했듯이 처음에 수도를 지었을 때는 외곽에 석성으로 건설하려 하였으나 궁예는 외곽에 토성으로 지어서 백성들과 허울 없는 관계를 보여주는 즉!! 미륵신앙을 기반으로 하는 수도를 건설한 것이다. 

반응형